귀여운 생김새에 앙증맞은 모습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사로잡는 피그미다람쥐는 일부 애완동물 애호가들 사이에서도 핫한 동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피그미다람쥐는 일반적인 반려동물과는 성격, 생태적 특성, 사육 환경 요구가 크게 다르므로, 키우기에 앞서 충분한 이해와 준비가 필요합니다.
1. 피그미다람쥐란?
피그미다람쥐는 설치류 다람쥐과에 속하며, 대표적으로 아프리카 피그미다람쥐와 아시아 피그미다람쥐 등이 존재합니다.
대부분은 열대우림 지대에서 서식하는 야행성 및 수상성 동물입니다.
- 몸길이: 약 6~10cm
- 꼬리길이: 몸과 비슷하거나 조금 짧음
- 체중: 평균 10~18g
이러한 크기와 생존 습성은 피그미다람쥐를 일반적인 반려동물과는 다르게 다룰 것을 요구합니다.
2. 생태적 특성
피그미 다람쥐의 생태적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야행성 및 수상성 습성
피그미다람쥐는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어두운 시간대에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이는 시각보다 후각과 청각에 의존하는 행동 습성과 관련이 있으며, 주간 활동을 강요할 경우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사회성 및 영역성
일부 종은 소형 군집을 이루지만 대체로 고립적인 생활을 선호하며, 좁은 공간에서 다른 개체와 함께 지낼 경우 스트레스성 공격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다람쥐과 동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영역성 행동 때문입니다.
3. 사육 환경 조성
피그미다람쥐를 키우기 위해선 사육 환경 조성이 중요합니다.
1. 케이지 조건
피그미다람쥐는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특성상, 높이가 충분하고 입체적인 공간을 갖춘 수직형 케이지가 적합합니다.
- 크기 권장: 최소 60cm x 60cm x 90cm 이상
- 소재: 방부 처리되지 않은 천연목 또는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PVC 재질
- 온도: 22~28℃ 유지
- 습도: 50~70% (습한 환경을 좋아함)
- 조명: 간접광, 야행성 생체리듬 고려하여 밤에는 빛 차단
2. 내부 구조
- 가지와 등반용 로프, 플랫폼 설치
- 숨을 수 있는 은신처 (코코넛 쉘, 텐트 모양의 천막 등)
- 나무껍질, 이끼 등 자연적인 재료 활용
- 바닥재는 코코피트, 제올라이트 또는 천연 톱밥이 적합
4. 피그미다람쥐 먹이
피그미다람쥐는 잡식성이나 주로 식물성 식단에 의존하며, 일부는 곤충이나 유기물도 섭취합니다.
자연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먹습니다.
- 나뭇잎, 꽃봉오리
- 과일 (작은 열매 등)
- 나무 수액, 수지
- 곤충, 유충
- 버섯, 이끼
만약 사육을 할 경우 급여 먹이 식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신선채소: 당근, 애호박, 청경채, 고구마
2. 과일: 블루베리와 파인애플, 사과
3. 단백질: 귀뚜라미와 밀웜, 삶은 달걀 노른자(주 1-2회)
4. 견과류: 아몬드와 해바라기씨
5. 피그미다람쥐 발생 가능 질병
피그미다람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의 질병은 아래와 같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1. 흔한 질병
- 치아 과형성: 지속적인 이갈이 불가능 시 발생 → 나무껍질 제공 필요
- 소화 장애: 섬유소 부족, 단백질 과잉 시 발생
- 피부질환: 진드기, 곰팡이 감염 (습한 환경에서 주의)
- 스트레스성 탈모 또는 식욕저하
2. 건강 지표
- 활동성이 높고 균형 잡힌 움직임
- 매일 먹이를 꾸준히 먹고 배변 상태 양호
- 몸을 자주 핥고 털이 깨끗할 것
- 야간에 활동하며 소리나 움직임에 즉각 반응
'정보나눔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성비 피해 5가지 분야 및 원인 대응 방안 (5) | 2025.06.15 |
---|---|
초당옥수수 전자레인지 찌는법 및 찜솥 이용 등 보관법 (0) | 2025.06.14 |
고양이 링웜 사람 전염될까? 초기증상 및 치료 (2) | 2025.06.11 |
장수풍뎅이 번데기 기간 및 키우기 주의사항 (1) | 2025.06.10 |
사슴벌레 키우기 온도 습도 먹이 관리 및 주의사항 (0) | 2025.06.09 |